목록비즈니스&IT (170)
MACE's life blog
랜선 뽑고, 아래 사항부터 꼭! (이 작업부터 하고나서 윈도우 필수 업데이트를 꼭 해야 함!) (1) 윈도우즈 > 시작메뉴 > 제어판을 클릭! 제어판 화면이 뜨면 '시스템 및 보안' 클릭 (2)윈도우즈 방화벽 클릭 (3) 좌측 패널의 '고급설정' 클릭 (4) 고급보안 화면이 뜨면 좌측 패널에서 '인바운드 규칙' 클릭 (5)우측 '작업' 패널에서 '새규칙' 클릭 (6) '포트' 선택 후 '다음' 클릭 (7)TCP 선택 후 , 아래 '특정 로컬 포트' 영역에 139, 445 입력 후 '다음' 클릭 (8) '연결차단' 클릭 후 '다음' 클릭 (9)도메인, 개인, 공용이 모두 체크된 것을 확인한 후 '다음' 클릭 (10)이름에 SMB 차단 이라 입력하고 '마침' 클릭!
개인정보 암호화 조치 안내서(가이드)가 2017년 개정되었다. 암호화 적용 기준은 시스템 구축시 꼭 검토할 필요가 있다. 비밀번호를 취급하는 회원제 서비스의 경우, 비밀번호 암호화(일방향/해시)는 필수/의무일 뿐만 아니라,ID/PW 등 로그인 정보에 대한 송수신 구간도 적절한 암호화 조치를 적용해야 한다. 나머지는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에 따라 상이하다. ※ 민간/공공모두 공통사항임. 암호화 적용 기준(요약)구분 암호화기준 정보통신망 보조저장매체를 통한 송신시 비밀번호, 바이오정보, 고유식별번호 암호화 송신 개인정보처리 시스템에 저장시 비밀번호 일방향(해시함수) 암호화 저장 바이오정보 암호화 저장 고유식별번호 주민등록번호 암호화 저장 ※2017.12.31까지 암호화 저장: 100만명 이상 정보주체 ※2..
서울 디지털 기본계획 2020에 따른 2017년 서울시 정보화 시행계획이 공개되었다. 2016년 성과와 사업 내역을 정리하고 2017년 주요 사업 계획에 대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서울시 목차Ⅰ서울시 전자정부 현황Ⅱ 2016년 서울시 전자정부 추진성과Ⅲ 2017년 서울시 정보화 시행계획1. 시행계획 수립 개요2. 디지털 정책 환경 및 비전3. 서울시 전자정부 추진전략 및 과제4. 2017년 정보화 주요사업 추진계획부록1. 서울시 전자정부 조직 및 인력현황2. 기관별 대표 홈페이지 현황3. 2017년도 전자정부 예산 현황4. 2017년 서울시 정보화사업 총괄표5. 2017년 자치구 정보화사업※출처:http://gov.seoul.go.kr/archives/1068 위 자료를 보면, 서울시 전자정부 예산..
콘텐츠 메타데이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IT기술이 발전하면 발전할 수록 결국은 메타데이터에 의하여 거의 모든 액션이 벌어지기 때문이죠. 페이스북에서는 소셜에 특화된 형태인 Open Graph를 만들어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SNS 최적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OG 적용이 필요합니다. OG 메타데이터를 테스트하기 위한 페이스북의 공식 개발 툴은 아래와 같습니다. 페이스북 공식 Opengraph 테스트툴 : https://developers.facebook.com/tools/debug/ URL을 입력하고 디버그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 화면으로 나오는데요,실제 입력된 OG를 Facebook이 어떻게 인지하는지 명확히 알 수 있어 아주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내가 만들고 ..
얼마전 숙박 예약 앱으로 유명한 '여기어때'가 중국발 해킹을 당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해킹 당한 것을 인지한 것도 해커가 고객들에게 낯뜨거운 문자를 보내고 나서인 듯한데, 고객의 이메일, 연락처, 이름, 숙박업소 예약 내역 등이 모두 털린 듯하다. 일단 현재까지 파악되기로는 고객 91만명의 이용자명, 휴대전화번호, 숙박 이용정보 323만건이 해커에 의해 침해된 것으로 확인됐고(3/30 기준), 해커가 사용자에게 문자메시지를 전송한 수는 지난 3월 23일까지 총 4,000여 건이며 이후 추가 피해는 접수되지 않았다고 한다. 그리고 아래 5대 보안 강화 정책을 함께 발표했다. 5대 보안 강화 정책 (1) 회원정보와 숙박 예약정보 분리 및 암호화 관리 (2) 예약 고객정보 제휴점 전송 시 닉네임과 가상번호로 ..
근래 받는 메일의 상당수는 '서비스 미이용에 따른 회원(계정)의 개인정보 파기 안내 혹은 휴면 전환'에 대한 내용이다. 그런데 유사한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곳은 개인정보를 파기한다고 하고, 어떤 곳은 휴면 상태로 전환을 한다고 한다. 어떤 곳이 적법한 서비스를 하는것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둘다 옳다. 정보통신망법 저촉 대상인 온라인 사업자 기준으로 설명을 하면, 법에 둘다 명문화된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사용자경험 및 비즈니스 관점에서 어떤 방식이 더 유리한지 고민하고 적용해야 한다. 정보통신망법 시행령의 16조는 "개인정보의 파기"에 대하여 정의하고 있다. 16조 2항에 보면 "법 제29조제2항의 기간 동안 이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해당 기간 경과 후 즉시 파기하거나 다..
CONCERT FOREST 2017 행사 중 KISA 발표 세션이 있었는데, 2016년 주요 보안/개인정보 사고사례를 다루는 내용에서 코드사인 인증서가 탈취되어 악성코드 배포에 악용된 사례가 발표되었다. 좀더 내용을 알고 싶어 관련 자료를 조사했다. H사는 그룹웨어 서비스를 공급하고 있는 업체 중 하나이다. 점유율도 상당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보안상 취약점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아래 사과문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코드사인은 기업에서 제작한 SW 프로그램 배포 시, 해당 기업에서 제작/배포한 것임을 증명하는 일종의 전자서명(디지털 도장)인데, 이 코드사인이 탈취되어 악성코드에 사용된 것이다. 물론 저 기업도 피해자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일단 해킹이 되고나면 숙주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더 큰 피해가 야..
think with Google에 재미있는 아티클이 올라왔다. Ad Attention Research: Effectiveness Hinges on More Than Just Reach 인데, 꽤 흥미로운 내용이 담겨 있다. 간략히 요약하자면 광고에 대한 주목도/집중도(Attention)는 스크린(기기)마다 다른데, 약 55%의 TV광고 시간은 멀티태스킹, 다른 채널 탐색 등으로 관심을 갖지 않는다고 한다.재미있는 것은 유튜브 모바일 광고는 주목도가 높다는 것. - TV광고 주목도 : 45% - 유튜브 모바일 광고 주목도 : 83% 광고에 대한 주목도는 오디오와 자막에 몰입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2.4배 차이가 발생했고, 같은 연구에 따르면 유튜브는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비하여 주목도가 1.8배 ..
근래 AWS와 같은 클라우드에 대한 이슈가 많다. 대형 인프라를 갖고 있는 기업/기관들은 여러이유로 클라우드로 서비스를 이관하고 있는데, 공공기관의 경우 행자부의 G클라우드를 이용하거나, 자체적인 데이터센터에서 프라이빗 클라우드로 이관하는 추세지만, 기업의 경우 AWS 등으로 이관하고 있다. 비용대비 효율적이고 보다 민첩한 개발 등의 필요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 때, 인프라 전체를 아예 클라우드로 옮긴다면, 고객의 개인정보 데이터까지 이관하는 격이 되는데, 한가지 이슈가 있다면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의 경우 개인정보의 국외이전으로 해석해야하는지 여부가 논쟁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특히 AWS는 서울 리전을 제공하고 있으나 DR 혹은 백업 등등의 목적으로 다른 리전에 데이터가 위..
독일에서 유학 중인 친구가 한국에서 가져간 오피스를 설치했는데... 언어교정 등등 언어 관련 기능에서 독일어가 없어서 헤메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오피스 2016 언어팩을 설치하는 법을 알려줬습니다. 아마 독일어로 논문을 써야하는 모양인데, 언어교정 같은 기능들이 필요하지만 한국어와 영어만 지원되다 보니 생긴 문제인 듯하고요, 언어팩만 설치하면 왠지 그냥 될 것 같다 싶었는데, 그게 맞았습니다. 비슷한 문제가 있는 분들은 아래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오피스 2016 언어팩 설치 ☞ 바로가기 링크 오피스 2016은 MS에서 '언어 액세서리 팩'을 별도 화면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위 화면에 접속하셔서 다운로드르 받을 수 있습니다. 위 화면에서 조금만 스크롤을 내리면 '1단계: 언어 액세서리 팩 설치'가 나..